[현장연결] 중대본 "오미크론 변이 유입관리 강화조치 4주 연장"<br /><br />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를 설명합니다.<br /><br />직접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손영래 /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]<br /><br />12월 29일 중대본 회의 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.<br /><br />지난주를 기점으로 유행 규모가 감소세로 전환되고 있고 감소 경향이 분명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어제 국내 발생 확진자 수는 5283명입니다.<br /><br />지난 3주간 동일 요일의 확진자 수가 7000명대 이상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줄어든 수치입니다.<br /><br />7일 평균 하루 확진자도 오늘 기준으로 5329명이며 12월 19일 6797명으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계속 낮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병상을 지속적으로 확충하며 의료체계의 대응 여력도 점차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상회복 전환 시점인 11월 1일과 비교해 보면 당시 중환자 전담병상은 1083개였으나 현재는 1384개로 301개, 28%를 확충하였습니다.<br /><br />준중환자 병상은 455개에서 1086개로 늘어나 631개 병상 139%가 추가되었습니다.<br /><br />감염병 전담병원 병상은 약 1만 개였으나 현재 약 1만 4000개로 늘어나 38% 증가한 규모로 운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러한 결과로 병상 가동률도 계속 호전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병상 가동률이 80% 이하로 떨어지면 배정이 원활해지며 대기가 해소됩니다.<br /><br />70% 이하인 경우에는 병상 운영상 아무런 문제 없이 원활하게 치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중환자 전담병상의 가동률은 12월 13일 82.6%까지 상승하였으나 오늘 현재 74.9%로 낮아진 상태입니다.<br /><br />특히 수도권의 중환자 전담 병상 가동률도 78.7%로 11월 20일 이후 처음으로 70%대로 진입했습니다.<br /><br />준중환자 병상의 가동률은 63.2%, 중등증 환자를 위한 병상의 가동률은 50.4%입니다.<br /><br />중환자실 외의 모든 병상이 안정적인 상태로 개선되고 있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병상 배정이 지연되어 입원을 대기하는 문제도 이제 해소되었습니다.<br /><br />하루 이상 입원을 대기하는 확진자가 12월 13일 802명까지 늘었던 적이 있으나 어제부터는 모든 환자에 대해 입원 배정을 완료해 입원 대기자가 0명이 되었습니다.<br /><br />유행 감소세 전환과 병상 여력 회복은 전적으로 국민들과 의료계에서 보여주신 참여와 협조, 헌신과 노고의 결과입니다.<br /><br />국민 여러분들과 의료진, 관계자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.<br /><br />다만 전체적으로 상황이 호전되기 시작했지만 아직은 감소세 초입에 불과하며 앞으로 더 유행 규모와 중증 환자를 줄이는 노력이 중요하다는 말씀도 함께 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위중증 환자는 오늘 1151명으로 역대 최고치이며 계속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전체적인 유행 규모 감소가 위중증 감소로 이어지기까지는 어느 정도 시차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또한 일상회복을 시작한 11월 초와 비교할 때 아직도 유행상황과 의료체계의 여력은 현저하게 불안한 상황입니다.<br /><br />11월 첫째주의 하루 평균 확진자 수는 2134명이었지만 지난 7일간 하루 평균 확진자 수는 5329명으로 당시의 2배를 넘는 큰 규모입니다.<br /><br />위중증 환자도 11월 첫째주가 355명이었지만 현재는 1151명이며 3배 이상 높은 수준입니다.<br /><br />중환자 병상 가동률도 11월 6일 기준으로 50.8%를 유지하였으나 어제는 74.9%였습니다.<br /><br />일상회복을 다시 시작하기 위해서는 보다 확실하게 유행 상황을 감소시키고 의료 여력도 확충해야 합니다.<br /><br />조금만 더 불편함을 참고 함께 노력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<br /><br />정부도 의료체계 여력을 안정화시키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내적으로는 유행이 감소대로 전환되고 있으나 오미크론 변이의 세계적인 확산은 중요한 외부적 요인입니다.<br /><br />해외 사례들을 보면 오미크론 변이는 불과 한 달 정도 내외 순간에 우세종으로 전환되며 확진자 규모를 2배에서 4배까지 증가시키는 결과들을 야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오미크론 변이와 관련한 입국 검역 강화조치를 내년 1월 7일부터 2월 3일까지 더 연장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.<br /><br />모든 입국자에 대해 10일간의 격리를 비롯하여 격리면제서 발급을 최소화하고 남아공 등 11개국의 단기체류를 입국 금지하는 등의 기존 조치가 계속적으로 연장됩니다.<br /><br />또한 입국 시 사전 PCR 확인서 기준을 발급일 기준 72시간에서 검사일 기준 72시간으로 더 강화합니다.<br /><br />해외에서 입국하는 데 불편함이 크시겠지만 새로운 변이의 위험을 최대한 늦추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임을 양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<br /><br />일상회복의 가장 중요한 목표는 의료체계가 감당 가능한 수준에서 코로나19 유행을 통제하고 중증환자와 사망자를 적정 수준 이하로 최소화하는 것입니다.<br /><br />일상회복을 다시 이어갈 수 있도록 많이 힘드시겠지만 조금 만 더 함께 노력해 주실 것을 부탁드립니다.<br /><br />예방접종을 꼭 받아주시기를 바라며 연말연시에 약속과 모임을 피하고 사람 간의 접촉을 줄여주시기 바랍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국민들께서 함께해 주신 이 노력을 조금만 더 힘을 내어 계속해 주신다면 현재의 상황이 훨씬 더 확실하게 호전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도 병상을 최대한 빠르게 확충하여 의료체계의 여력을고 안정화시키는 작업을 더 가속화시키겠습니다.<br />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